전세 대출 이동제: 조건, 금리, 한도 및 신청 방법
전세 대출 이동제는 주택금융공사 보증서 상품을 보유한 고객을 위한 특별한 금융 상품입니다. 이번 포스팅에서는 전세 대출 이동제의 주요 조건, 금리, 한도, 신청 방법 및 관련 비용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.
전세 대출 이동제 조건
전세 대출 이동제를 신청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.
대상 고객: 만 19세 이상의 개인으로, 전세 자금 대출을 보유한 고객이어야 합니다.
금융기관: 전세 대출 이동제에 참가하는 금융기관에서 대출을 보유하고 있어야 합니다.
이러한 조건을 충족하는 고객은 전세 대출 이동제를 신청할 수 있습니다.
전세 대출 이동제 금리
전세 대출 이동제의 금리는 다음과 같습니다.
최저 금리: 3.72%
최고 금리: 4.12%
이 금리는 2024년 5월 27일 기준으로 제공되며, 기준금리는 금융채(6개월) 변동 3.62%에 가산금리 0.50%p가 적용됩니다. 대출신청금액이 2억원, 신용등급이 1등급, 대출기간이 2년인 경우의 금리입니다. 또한, 단기변동금리(6개월 이하)에 대해 우대금리 최고 0.40%p가 적용될 수 있습니다.
전세 대출 이동제 한도
전세 대출 이동제의 한도는 다음과 같습니다:
최대 대출금액: 2억 2천 2백만원
기존 대출 잔액 이하: 기존 대출이 여러 건인 경우 합계 잔액 이하로 대출이 가능합니다. 단, 갱신 시 임차보증금 증액의 경우 대출한도 범위 내에서 증액 대출이 가능합니다.
대출한도 기준: 주택금융공사 보증한도와 주택임차보증금의 80% 중 낮은 금액이 적용됩니다.
이러한 한도 내에서 대출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.
전세 대출 이동제 기간
전세 대출 이동제의 기간은 임대차계약 종료일까지입니다. 대출 만기일은 임대차계약 만기일과 일치해야 하며, 대출 실행 후 대출 기간의 변경은 불가능합니다.
상환 방법 및 안내
전세 대출 이동제의 상환 방법은 만기일시상환 방식입니다. 대출 기간 동안 이자만 매월 납부하고, 만기에 대출금을 모두 상환하는 방식입니다. 대출약정방식에 따라 원금 및 이자의 상환 시기가 상이할 수 있으며, 대출기간 중 중도상환하는 경우 중도상환해약금이 부과됩니다.
연체이자 및 지연배상금 안내
이자를 기일 내 상환하지 않은 경우, 상환해야 할 금액에 대해 그 다음 날부터 지연배상금이 부과됩니다. 지연배상금률은 연체기간에 관계없이 연체일수 × (채무자 대출금리 + 3%) ÷ 365로 적용되며, 지연배상금률이 연 15%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연 15%가 적용됩니다.
고객 부담 비용
전세 대출 이동제에 따른 고객 부담 비용은 다음과 같습니다:
인지세: 대출약정 체결 시 납부하는 세금으로, 대출금액에 따라 차등 적용됩니다. 5천만원 이하의 대출은 비과세이며, 5천만원 초과 1억원 이하의 경우 7만원, 1억원 초과 10억원 이하의 경우 15만원, 10억원 초과의 경우 35만원이 부과됩니다.
주택금융공사 보증료: 보증료율은 최저 0.02%에서 최대 0.2%까지 고객이 부담합니다.
중도상환 및 기한 연장 안내
중도상환 시 중도상환해약금이 부과됩니다. 중도상환해약금은 중도상환원금 × 적용요율 × (잔여기간 ÷ 대출기간)으로 계산됩니다. 대출 만기도래 시 자동연장되지 않으며, 만기도래 1개월 전에 고객행복센터를 통해 사전 상담이 필요합니다.
계약 해지 안내
대출계약 철회권이 있으며, 계약서류 수령일, 계약 체결일, 대출금 수령일 중 나중에 발생한 날부터 14일 이내에 철회의사를 표시하면 대출계약을 철회할 수 있습니다.
결론
전세 대출 이동제는 주택금융공사 보증서를 보유한 고객에게 유리한 조건으로 제공되는 금융 상품입니다. 위의 조건과 금리, 한도, 신청 방법을 잘 이해하고 준비하여 전세 대출 이동제를 신청하시기 바랍니다.
'전월세대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신한은행 - 전세 대출 (0) | 2025.03.17 |
---|---|
IBK기업은행 - i-ONE 전세대출 (0) | 2025.03.10 |
케이뱅크 - 청년 전세대출 (1) | 2025.03.09 |
우리은행 - 우리WON 전세 대출 (1) | 2025.03.08 |